spring 4

[Spring] 싱글톤 레지스트리와 스프링의 IoC 컨테이너

0. Intro[토비의 스프링] 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1.6 싱글톤 레지스트리와 오브젝트 스코프'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GitHub PR 링크 : https://github.com/Kimhan-nah/toby-spring/pull/8 [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1.6 싱글톤 레지스트리와 오브젝트 스코프 by Kimhan-nah · Pull Request #8 ·Issue 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2 정리 싱글톤이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서비스 형태의 오브젝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태 정보가 없는 무상태(stateless) 방식으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ConnectionMakergithub.com  싱글톤이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서비스 형태의 오브젝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태 정보가 없는 무상태(s..

java & spring 2024.08.20

[Spring] IoC 컨테이너와 Bean

0. Intro이 글은 Spring 공식 문서 'Core Technologies'의 'IoC Container'에 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토비의 스프링 스터디에서 동일한 내용에 대한 PR 링크입니다.1. IoC Container : ApplicatoinContext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nterface는 Spring IoC Container를 나타내며, Bean을 인스턴스화, 구성(configuring)하는 일을 담당한다. 또 BeanFactory의 하위 인터페이스로, 몇가지 enterprise-specific functionality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container는 configuration metadata를 읽음으로써 인..

java & spring 2024.08.13

[Java/Spring] Java Bean vs Spring Bean, Bean이란?

0. IntroSpring 공식 문서에서 Bean에 대한 정의를 읽으면서, 'Java에서 정의하는 Bean은 어떻게 다르지?'라는 궁금증이 생겼다.Java에서 정의하는 Bean과 Spring에서 정의하는 Bean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Java와 Spring에서 Bean을 각각 어떻게 정의하는지 알아보자. 1. Java Bean 이란?POJO(Plain Old Java Object)에서 몇가지 규칙들이 추가된 객체이며, DTO와 VO와 같이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규칙은 아래와 같다.1. 멤버필드를 프로퍼티(Property)라고 하며, 모든 프로퍼티는 private 접근 지정자여야 한다.2. getter, setter로 private 프로퍼티(property) 멤버필드 ..

java & spring 2024.08.08

[Spring] 새로운 마음으로 Spring 시작하기 (with 토비의 스프링 + 공식 문서)

어쩌다 Spring스프링을 단순 프레임워크 사용자로 사용만 해보았고, 제대로 구조와 원리에 대해서 공부하진 않았다.spring 구조, 원리, 가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니 선택 기준이 정립되지 않았고, 개발도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느꼈다.그래서 토비의 스프링 교재와 Spring 공식 문서를 통해 spring의 구조와 원리를 학습하고 spring의 가치와 목표를 이해하여, 스프링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개발자로 성장하고자 한다.  앞으로의 계획1. 토비의 스프링 예제 코드에 대한 기록은 GitHub에 기록한다.2. Spring 공식 문서는 친구와 함께 월~금 매일 읽고, 매주 월요일 정리한 내용을 공유한다.3. 토비의 스프링 + 공식 문서 내용을 함께 정리하여 기록한다. 자세한 기간은 공부하면서 진행 속도를 살..

etc/study 2024.08.05